반응형
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요즘,
또 장시간 핸드폰과 컴퓨터를 많이 보는 요즘 시대에
안구건조증이 참 많이 나타납니다.
안구건조증을 이해하기 위해
우리의 눈물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한 번 살펴봐볼까요?
눈물막의 구조
눈물은 여러 분비샘에서 만들어져, 3개의 층으로 구성됩니다.
- 수분층, 수성층 aqueous layer: 수분 98%로, 눈물샘에서 만들어지는 층. 눈물막의 중간에 위치하며 눈물의 대부분을 차지함. 눈물이 적당한 pH를 유지하도록 함
- 지질층 lipid layer: 기름 성분으로, 지방선인 마이봄선(meibomian gland)에서 만들어지는 층. 눈물막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성층의 증발을 방지하고 표면을 부드럽게 유지하여 눈물층 보호
- 점액층 mucin layer: 당단백질로 점액 성분. 결막의 술잔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층. 눈물막의 가장 안 쪽에 위치하여 눈물이 퍼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
이 3개의 층이 잘 유지되어
눈을 부드럽게 해주기도 하고
균의 침투를 막아주기도 합니다.
안구건조증 정의
여러 이유로 눈물의 생성이 부족해지거나, 눈물 배출이 증가하는 등
눈물막이 빠른 속도로 파괴되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.
안구건조증의 형태는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.
- 눈물수분부족형: 염증과 안구표면 상피손상을 동반
- 눈물증발과다형: 눈물막 파괴시간이 짧아짐
안구건조증 증상
- 눈이 건조하다
- 눈에 뭔가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이 느껴진다
- 눈물이 많이 나온다
- 따끔거리는 등 통증이 있다
- 시야가 흐려진다
- 눈이 자주 충혈된다
-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
눈이 그냥 아프거나, 자주 충혈되어도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.
안구건조증이어도,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경우도 있어서 잘 의심해봐야합니다.
안구건조증 원인
- 노화로 인한 눈물 분비 감소 ; 65세 이상
- 여성호르몬의 감소; 폐경기 여성, 임산부
- 기저질환 ; 쇼그렌증후군, 류마티스질환, 루푸스, 갑상선 질환, 당뇨병, 염증 등
- 환경 ; 흡연, 바람, 건조한 환경, 장시간 컴퓨터 사용, 방사선 등
- 약물 ; 항히스타민제, 여드름약(이소트레티노인), 파킨슨치료제, 항우울제 등
반응형
'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구건조증 인공눈물 ① - 센쥬씨엘 / 큐티스 점안액 (0) | 2025.03.13 |
---|---|
안구건조증 치료 - 인공눈물 종류 정리 (1) | 2025.03.13 |
복통약(진경제) (3) - 칼슘통로차단제, 기타 약 (0) | 2022.09.15 |
복통약 (진경제) (2) - 항콜린제, 평활근이완제 (0) | 2022.08.31 |
복통약 (진경제) (0) | 2022.08.31 |